
또다시 길을 나섰다. 막걸리 두 병을 사 들고 어제 걸었던 그 길을 다시 걸어갔다. 내가 빨리 걸으면 걸을수록 남쪽에 떠 있는 해와 점점 가까워졌다. 나를 훑고 지나가는 바람이 긴 머리카락을 흐트러지게 했다. 해를 정면으로 바라보며 걷고 있는 나는 얼굴이 붉게 달아올랐고 등허리에 땀이 흥건했다. 잠시 쉬었다 가려고 웅장하게 서 있는 느티나무 그늘에 앉았다. 익어가는 대추를 바라보며 뜨거워진 몸의 열기를 식혔다. 그늘을 만들지 못하는 나무는 이미 나무가 아니다. 그늘이 움직인다는 것은 나무가 살아있다는 것이다. 해의 움직임에 따라 나무 그늘의 위치와 모양이 바뀌어야 한다. 길 위를 지키는 사마귀가 있었다. ‘갈막잔등’으로 향하는 언덕길 모퉁이를 돌아서니 한낮의 햇빛을 받아 한층 더 달궈진 콘크리트 위에 권..

여전히 어스름이 깔린 새벽이다 텐트에서 눈을 떴다. 나는 결코 불면의 밤을 보낸 것이 아니다. 새 나라의 어린이처럼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났을 뿐이다. 내가 지금 있는 곳은 어디인지 나는 지금 어떻게 밤을 보내고 있는지 어둠이 뒤덮고 있는 바다에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하늘에 총총한 별들은 무엇을 비추고 있는지……. 그런 게 궁금했을 뿐이다. 기계적으로 살아가는 일상을 벗어나 나의 행위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었다. 나는 대체 어디에 있는가? 그곳에서 무엇을 하는가? 그렇게 새벽을 맞았다. 새벽이슬이 내리고 있다. 물기를 가득 머금은 해풍이 찝찝하게 내 피부에 와 닿는다. 새벽에는 쌀쌀했다. 청명한 가을밤, 별이 이처럼 빛나는 것을 멍하니 보고 있었다. 검은 어둠 위에 별이 총총한 밤하늘과 대비되어 텐..

달리도에 도착했다. 내가 걸어야 할 길은 콘크리트로 포장된 해안 길이다. 선착장에서 왼쪽으로 돌아가면 어느 섬에나 볼 수 있는 그런 조금은 밋밋한 길을 걸었다. 넓은 바다에 지주식 김 양식장이 펼쳐져 있고 해안가 모퉁이를 굽이 돌아가는 길은 인적 없는 쓸쓸한 곡선으로 뻗어 있었다. 새로 지어진 마을회관 파란색·빨간색 양철지붕 이지러진 담벼락 밭에 길게 늘어선 비닐하우스 논의 누렇게 익어가고 있는 벼 길가의 해당화……. 꾹 눌러쓴 모자 아래로 보이는 원달마을은 정적이면서 단출한 풍경이다. 나는 그 길을 무거운 배낭을 메고 걸었다. 언덕을 올랐다. 희미하게만 보이던 언덕길은 전봇대를 따라 원달마을 뒤편의 ‘갈막잔등’이라 부르는 곳을 른다. 그 길은 가난하고 굴곡진 옛사람들의 삶의 길이었다. 뱃고동 소리가 가..
- Total
- Today
- Yesterday
- 여행
- 홋카이도 여행
- 일본여행
- 걷다보니유럽
- 뚜벅이가 꿈꾸는 세상
- #시베리아 선발대
- 50대한량의유럽배낭여행
- 유럽배낭여행
- 제주여행
- 마운틴북
- 뚜벅이
- 베트남 북부여행
- #여행에미치다
- 명산100
- 나만의글쓰기
- 베트남 여행
- 유럽여행
- 자유여행가
- 블랙야크 마운틴북
- 베트남여행
- 여행을떠나는이유
- 블랙야크 셰르파
- 대마도 백패킹
- 제주맛집
- 50대한량의유럽여행
- 해외여행
- 제주백패킹
- 대마도 여행
- #다르게살아보기
- 나에게여행이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