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를 날지 못하게 붙잡는 것은 무엇인가? 말은 돌보다 무겁다. 함부로 내뱉으면 그 무게에 다칠 수 있다. 좋은 말을 쓰자. 좋은 말은 나의 안과 밖을 조금씩 변화시킬 수 있다. 때론 경험하지 못한 일에 대해 의욕이 충만하여 잠재력을 과대평가한다. 막상 경험해 본 순간에는 열정은 벼랑과 마주하고 잠재력은 한여름 밤의 꿈이 된다. 잠재력을 키위려면 실천 가능한 작은 습관의 실천이 필요하다. 성공 체험 책을 읽으면서 내 인생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책 속에 인생의 길을 발견했다. 책을 읽으면서 생각이 다양해지고 깊어졌다. 조금씩 내 생각을 짧은 글로 쓰고 있다. 함박눈이 내리듯 생각을 하나씩 떨어뜨린다. 머릿속이 혼란스럽고 복잡할 때 순간 떠오르는 단어나 문장을 적어 놓는다. 단어와 문장을 다시 훑어보고 질문을..

항아리에 담긴 감잎 밭이 넓었고, 밭두둑 가에 감나무가 심겨 있었던 듯하다. 가난한 중국 선비는 농사로 생계를 이었다. 김을 매면서도 생각이 자꾸 이어졌다. 잡초를 뽑다가 악을 제거하는 마음공부의 한 자락을 깨닫고, 거름을 주다가 선을 북돋우는 방법을 떠올렸다. 호미로 돌멩이를 뽑아 내던지다가 며칠째 맴돌던 구절이 문득 이해되었다. 메모해야겠는데 그곳은 밭이었고, 가난해 종이도 없다. 생각 끝에 그는 아예 밭 가운데 작은 항아리를 묻었다. 감잎을 따서 넣어두고 붓과 벼루도 함께 놓아두었다. 김을 매다 짧게 깨달음이 지나가면 항아리 근처에 다다를 때까지 생각을 다듬어 감잎에 적어 항아리 속에 넣어두었다. 항아리는 습기를 막고 건조도 막는다. 한참 뒤에 꺼내도 감잎에 쓴 글씨는 그대로 살아 있었다. 메모가 ..

내 인생의 목표는 성공한 삶이 아니라 성장하는 삶이다. 성장하는 삶을 위해 현재의 자신을 반영하여 삶을 개척해야 한다. 내가 가장 잘할 수 있는 독서를 통해 삶을 개척하고 있다. 현대인의 문맹률은 낮지만, 이해력은 턱없이 떨어진다. 독서는 글자를 읽는 게 아니라 뇌의 사고를 읽어나가는 것이다. 미련스러울 정도로 버티며 우직하게 자신의 소신을 믿고 행동하는 사람만이 새로운 길을 개척할 수 있다.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도서관의 도서분류를 기준으로 자기계발, 경제경영, 과학, 소설, 인문학 등 모든 도서를 골고루 읽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인기도서보다는 좋아하는 작가의 책을 모두 읽고 있다. 쉬운 책, 좋은 책, 읽고 싶은 책, 읽어야 할 책, 좋아하는 분야, 좋아하는 작가 등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복잡한 이 세상에 살려면 '무엇을 하지 않을 것인가'를 결정해야 삶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꼭 해야 할 일은 남기고 하지 말아야 할 일은 관둬야 인생이 단순해진다. 단순함이 최고다. 원치 않은 사람들과 무의미하게 시간을 보내기보다는 혼자 있는 시간을 냉정하게 들여다보게 된다. 사람들은 외로움을 두려워하며 견디지 못한다. 난 천성적으로 혼자 있는 시간을 즐긴다. 혼자 있는 시간을 내 능력을 키우는 데 사용하고 있다. 삶을 영위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다 보면 좋아하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명확한 목표를 세우자. 삶을 바라보는 생각의 차이가 인생의 계절을 결정한다. 우리는 같은 계절을 살지만, 사람마다 인생의 계절은 다르다. 계절은 일 년 주기로 순환하지만 한번 흘러간 인생의 계절은 돌아가고 싶어도..

취미가 독서라고 말하는 사람은 많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19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를 보면 성인 10명 중 5명은 1년 동안 책을 전혀 읽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종이책 연간 독서율이 52.1%이고 독서량은 6.1권으로 나타났다. 책을 읽기 어려운 이유로 제일 많이 꼽은 것은 성인의 경우 ‘책 이외의 다른 콘텐츠 이용(29.1%)’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까지 가장 많은 사람이 꼽았던 ‘시간이 없어서(27.7%)’를 밀어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매체 이용 다변화가 독서율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 그 외 ‘책 읽는 것이 싫고 습관이 들지 않아서’ 13.6%, ‘다른 여가활동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 11.9%, ‘책을 읽을 만한 마음의 여유가 없어서’ 5.4%로 나타났다..

신체 리듬은 사람마다 다르다. 나는 보통 자정에 잠을 자고 오전 6시에 일어난다. 널리 알려진 수면 주기는 1.5시간이다. 나는 이 단위의 4배인 6시간을 잠을 잔다. 일과의 규칙성을 살펴보면 이는 이미 습관으로 자리 잡은 시간의 흐름 속 행동이다. 사람들은 시간을 생산활동, 유지활동, 여가활동으로 보낸다. 일주일 168시간을 기준으로 수면시간을 제외하면 126시간이다. 직업의 종류가 다르고 근무 시간의 차이가 있지만, 생산활동에 투입되는 시간은 40시간(표준근로시간)이다. 나머지 86시간은 이동, 식사 등 유지활동과 취미, 휴식 등 여가활동이다. 보통 여가활동은 TV 시청, 스마트폰 사용, 운동이나 영화감상 등이 대부분이다. TV보다 더 중독성이 강한 것이 스마트폰이다. 주위를 둘러보면 스마트폰에 무아..
- Total
- Today
- Yesterday
- 대마도 백패킹
- 나에게여행이란
- 베트남 여행
- 50대한량의유럽배낭여행
- 유럽여행
- 베트남여행
- 뚜벅이
- 유럽배낭여행
- 여행
- 나만의글쓰기
- 대마도 여행
- 블랙야크 셰르파
- 해외여행
- 제주맛집
- 베트남 북부여행
- 블랙야크 마운틴북
- #다르게살아보기
- 50대한량의유럽여행
- 제주백패킹
- #여행에미치다
- 명산100
- 자유여행가
- 여행을떠나는이유
- 일본여행
- 홋카이도 여행
- 걷다보니유럽
- 제주여행
- 마운틴북
- #시베리아 선발대
- 뚜벅이가 꿈꾸는 세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