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 섬]소안도 여행



노화도, 보길도(1박), 소안도(1박)


2박 3일동안 완도의 섬여행 중에서

삼일째 여정이 소안도에서 시작되었다.






어제밤, 소안도의 몇개없는 여관인 소안장

좁은 온돌방에서 우리는 따뜻하게 밤을 보냈다.


섬이라고 믿기 어려울정도로

따뜻한 공기가 내 주변을 감싸고 있다.


가학산을 다녀오기 위해서

미라리에서 산행을 시작했다.








해가 구름에 가려 우중충한 날씨다.

양식장, 아부산 거북바위, 다도해의 섬들이 보인다.


드넓은 바다 한가운데에 햇빛이 구름을 뚫고

하늘에서 바다로 그 빛줄기를 간간히 내뿜고 있다.


마치 광명의 불빛처럼...







목재데크 계단, 잔디밭쉼터, 학운정을 지나고

덜 정비된 급경사지를 힘겹게 디뎌 가학산 정상에 올랐다.


소안면, 대봉산, 노화도, 보길도 등 다도해 섬군들

남북으로 길게 뻗은 소안도의 장고형 지형을 그대로 볼 수 있다.


탁틔인 주변 풍경에 나도 모르게 입이 버러지고 말았다.






소안도 가학산 정상에서

섬산행으로 2019년 BAC 첫 인증을 했다.


온화한 아침 날씨라

어딘가에서 불어오는 아침바람이 시원하니 좋다.





하늘과 땅 사이에 넘치게 가득찬 큰 원기,

자유롭고 유쾌한 마음,

공명정대하여 조금도 부끄러운 바 없는 용기


호연지기

바로 이곳 가학산 정상에서 즐겨야 한다.






숙소로 돌아온 후

간단히 도시락으로 아침식사를 했다.


어느새 우중충한 날씨가

맑은 하늘로 변하고 있다.


항일의 땅, 해방의 섬 소안도는

하루도 깃발 내리는 날 없는 태극기의 섬이다.


일제강점기 소안도는 함경도 북청, 부산 동래와 함께

독립운동이 가장 강성해던 곳으로 손꼽힌다.





섬 주민들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기개가 용명하여 외부인들로부터 침법을 받지 않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사람들이 100세까지 살기 좋은 곳이라 해서 소안도라고 했다.


소안항(1.7km)-비자리(0.9km)-비동마을(5.3km)-북암마을

소안도에는 아주 걷기 좋은 소안섬길이 있다.



2016년 6월



2019.01



2016년 6월에 나는 이곳에 있었다.


완도군 문화관광부 공무원(계장, 주무관),

 소안면 담당자, 소안도 번영회장, 농협 상무 등과 함께 둘러본 곳이다.


예전 비자리와 북암리를 오고갔던 옛길을 복원하여

지금은 아주 멋진 가고싶은 섬, 소안도의 소안섬길이 된 것이다.


다시 이곳을 찾아와서

내가 한가로히 걷게 되니 감회가 새롭다.






돌담이야기


바다를 선회하다 섬으로 날아든

바람은 길을 잡아 친구를 찾아 나선다.


모퉁이를 돌아서자 반색하고 달려드는 돌담,

드디어 그들이 만난다.


집 앞에도, 논둑에도, 밭둑에도

바람이 머무는 곳이면 소안의 돌담은 홀연히 나타난다.


(중략)





돌탑이야기


돌탑은 지친 이들의 소망을 가득 안고

의연히 서 있기 마련이다.


마을 어귀에 있기도 하고,

고갯마루나 서낭당에 있기도 하다.


소안섬길에도 돌탑이 있다.


대봉산 둘레를 따라 한참을 가다보면

산허리에 불쑥 나타나는 소안의 돌탑,

그 위치가 자못 생뚱맞기까지 하다.


(중략)






보섯끝


대봉산에서 동쪽으로 내달아 닫는 마지막 그 곳,

바로 보섯끝이다.


쟁기의 술바닥에 끼워 땅을 갈아 흙덩이를 일으키는데에 쓰는

삽 모양의 쇠조각을 보습이라고 한다.


같은 날에 태어난 쌍둥이처럼

그들은 닮아 있다.


(중략)






바람을 길잡이 삼아

호젓한 소안섬길을 따라 걸었다.


저 멀리 바닷가에는

바람과 파도가 같이 어우러져 살고 있다.






어느새 숲길을 벗어나

농로와 마을길을 따라 북암마을에 왔다.


인적을 찾아볼 수 없는

한적한 북암마을에도 태극기는 펄럭이고 있다.


나는 연중 태극기가 펄럭이는

항일의 섬, 소안섬길을 걸은 것이다.







소안섬 유일의 중국집

짜짜루에서 짜장면을 먹고 소안항으로 왔다.


소안항에서 화흥포항까지는

성인 7,700원이고 승용차(소나타)는 20,000원이다.






다시 소안항에서 배를 타고

노화도(동천항)을 거쳐 화흥포항으로 나갔다.


노화도, 보길도, 소안도

2박 3일동안 완도의 섬여행은 이렇게 끝이 났다.

[완도 섬]보길도 여행



노화도, 보길도(1박), 소안도(1박)


2박 3일동안 완도의 섬여행 중에서

이틀째 여정이 보길도에서 시작되었다.






새벽까지 무섭게 몰아치던 바닷바람을 비웃기라도 하듯

세연정 모텔의 따뜻한 온돌방에서 등허리 지지면서 곤하게 잘 잤다.


맑은 하늘이 푸른 바다와 어우러져

이치산 아래 자리잡은 노화읍이 한눈에 들어온다.


어제까지 뿌옇게 뒤덮혔던
미세먼지가 없어 기분이 더 좋은 아침이다.





편의점에서 따뜻한 원두커피를 산 후

제일 먼저 보길 고산 윤선도 문학관을 찾았다.


윤선도 문학관은 고산의 생애 중 가장 핵심이 되는

보길도에서의 삶과 자연을 동경했던 윤선도의 문학세계를 이해하는 공간이다.


윤선도는 병자호란을 계기로 제주도로 향하던 중

보길도를 발견한 이후 85세로 일생을 마치기까지 7차에 걸쳐

 보길도를 왕래하였으며 13년간 머무르며 그 장구한 삶을 마무리한 곳이다.




문학관을 둘러본 후

바로 인근의 보길도 윤선도 원림에 왔다.


윤선도 원림의 입장료는 2,000원이고

관람(입장) 시간은 오전 9시 ~ 오후 4시 30분까지이다.


보길도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역사유적이

잘 어우러진 명승으로 격자봉을 중심으로 하여

북동쪽으로 흐르는 계곡 주변의 부용동 지역에 원림문화가 형성되었다.






원림안에는 세연정이 위치하고 있다.


마을 입구에 여러 냇물이 돌아 나가면서 넓은 못을 이루었는데

그 주변에 정자를 지어 세연정이라 했다고 한다.


세연정은 어부사시사의 창작 무대가 된 곳이다.





세연(洗然)이란 '주변 경관이 물에 씻은 듯

깨끗하고 단정하여 기분이 상쾌해지는 곳'이란 뜻이다.


세연정 앞의 홀로 선 아름드리 소나무가

세월의 흔적을 말해주고 있는 것 같다.


나는 한동안 세연정 주변을 거닐었다.


바람이 연못을 지나 나를 스치고 지나간다.

짧은 순간이지만 내 몸이 상쾌해짐을 느꼈다.







그 옛날 내가 윤선도이고, 오늘 처럼 맑은 날이라면

한가로이 세연정에 앉아 막걸리를 마시며 어부사시사를 읊조렸을 것이다.


배띄워라, 닻들어아, 돛달아라, 노저어라, 노저어라

돛내려라, 배세워라, 배매어라, 닻내려라, 배붙여라


고산의 흔적을 따라 부용동 숲길로 들어가면

낙서재 건너편 산자락에 동천석실이 위치하고 있다.





산중턱 넓은 바위에 서서 부용동을 내려다 보니

고산 윤선도가 이곳을 부용동이라 했는지 알 것 같다.


지형이 마치 연꽃 봉오리가 터져 피는 듯하다.


산이 사방으로 둘러 있어 바다 소리가 들리지 않으며

물과 돌이 참으로 아름다워 세상 밖인 듯 아름다운 경치를 품었다.






동천석실은 아슬아슬한 절벽 위에 세운 한 칸짜리 정자로

서책을 즐기며 신선처럼 소요하는 은자의 처소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윤선도는 이곳을 부용동 제일의 절승이라고 했다.


그는 이곳에서 골짜기와 격자봉 능선,

낙서재의 건물이 환하게 펼쳐지는 것을 구경했다고 한다.






동천석실에서 마을로 내려와

낙서재 옛길을 따라 낙서재로 향했다.


낙서재는 격자봉 아래 위치하고 천하의 명당으로

고산 윤선도가 보길도에 들어 주된 거주지로 삼은 곳이다.


격자봉에서 혈맥이 세 번 꺽이어 내려오는 곳에

소은병이 있고 병풍바위 아래가 낙서재터가 되었다.






낙서재에서 곡수당에 왔다.


곡수당은 물이 모이는 합수부에

농업용수와 담수를 얻기 위해 조성한 연못이다.


곡수당 뒤쪽 등산로를 따라

큰길재를 넘어 예송리로 넘어갔다.





예송리 상록수림은 상당수가 곰솔이고

예송초등학교 앞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다.


예송리 상록수림은 반달모양을 띠고 있는데

마을과 농경지를 보호하는 방풍림의 구실을 하고

어족을 보호하는 어족림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보길 보옥~예송(예송~보옥) 탐방로를 따라

다도해의 쪽빛 바다와 해안절경을 구경하며 걸었다.


세상의 헛된 욕심에 갇히지 않으면

비로소 한가로운 사람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자연속에서 걷는 자만이

한가로운 사람이 된다고 나는 생각한다.







공룡알처럼 둥근 모양의 갯돌이

모래사장을 대신하고 있는 공룡알해변 뒤로 보죽산이 있다.


보죽산은 보는 위치에 따라 모습이 달라서 신비스럽다.


산 정상에 오르면 눈 앞에 펼쳐진 수평선과

아스라히 보이는 제주도, 추자도의 모습이 아름답다.





망끝전망대는 보길도 산봉우리에 걸쳐진

달 모습에 취했다는 망월봉 끝자락 돌출부에 위치한다.


탁트인 바다와 함께 붉은 몸을 감추는 일몰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소이기도 하다.


선창리와 정자리를 차를 타고 돌아본 후

늦은 점심을 보길면 세연정 횟집에서 먹었다.





한겨울에도 초록으로 반짝이는 숲,

고즈넉한 몽돌 해변과 금빛 모래밭,

쪽빛 바다, 기암괴석 신비로운 해안 절경 등


보길도는 섬 전체가 자연이 만들어낸 정원같다.






보길도에서 노화도(동천항)에 왔다.

막 배를 타고 노화도(동천항)에서 소안도로 들어갔다.


노화도(동천항)에서 소안도까지는

성인 1,700원이고 승용차(소나타)는 6,500원이다.






오늘 하루동안 고산 윤선도의 흔적을 따라

산해진수 감탄하며 보길도 이곳저곳을 걸었다.


격자봉에서 섬산행 인증을 못 한 것은 아쉽지만

그보다 더 한 감동을 내 가슴속에 담았기에 결코 후회하지 않는다.


또다시 보길도에 올날을 기대하며

연중 태극기가 휘날리는 항일의 섬 소안도로 향했다.

[완도 섬]노화도 여행



어제 대전을 출발하여 광주를 거쳐

무안 회산백련지와 목포의 선경준치회집을 돌아 완도에 왔다.





완도에 올때마다 들리는 새벽항구 식당에서

자연산 회로 저녁을 먹은 후 시드니 모텔에서 숙박을 했다.


어둠이 채 가시지 않은 완도의 새벽은 고요하기만 하다.





화흥포항은 완도읍에 있는 연안항이다.

완도에서 화흥포항까지는 8.7km거리이고 완도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아침 7시 50분 배를 타고

노화도(동천항)으로 갔다.


화흥포항에서 노화도(동천항)까지는

성인 6,500원이고 승용차는 18,000원이다.





미세먼지가 세상을 온통 뿌옇게 만들었다.

화흥포항에서 노화 동천항까지 40여분정도 걸렸다.


노화도는 44개의 유,무인도로 형성되어 있고

동남쪽의 소안도, 보길도가 위치하고 있어 방파제 같은 역할을 한다.





나는 2박 3일동안 완도의 섬들중에서

노화도, 보길도(1박), 소안도(1박)를 여행할 예정이다.


선착장앞의 이정표를 따라 발걸음을 옮겼다.


후박나무 등 난대수종이 분포하고 있는

야트막한 구릉지를 넘어 편백나무 조림지를 지났다.


작업로를 따라 걷다보면 목섬, 장구섬이 보이고

다도해 저 멀리 황간도의 사자바위가 위용을 드러내고 있다.







동고마을 앞 동고저수지에 다다랐다.

노화도의 동쪽 끝에 있다 하여 동고리라 하였다고 한다.


오래전 제주고씨가 이주해서 농사를 지을 목적으로

저수지를 막고 생활하면서 동고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동고마을에서 도로를 따라

산을 넘어서 알갱이마을로 향했다.


산고개에서 바라보는 알갱이마을과

저멀리 보이는 황간도가 한폭의 풍경화처럼 보인다.







알갱이마을이라면

혹시 인근에 껍데기마을도 있나??


몹시 궁금하다.


알갱이마을 선착장에서

목섬과 장구섬 사이에 드넓게 펼쳐진

전복양식장을 바라보니 내 가슴도 탁 틔이는 것 같다.





노화도에는 광석매장량이 많아서

납석을 생산하는 광산이 구석리, 신양리 곳곳에 산재하고 있다.


옥산 둘레로 난 임도를 넘어

광산의 흔적이 고스란히 간직한 구목마을에 왔다.








구목리는 교통의 요지란 뜻이다.


한겨울 추운 바닷바람을 맞으며 자란 배추가 봄동이다.

겨울의 추운날씨때문에 속이 꽉 차지 못하고 잎이 옆으로 퍼져 있다.


구목마을 밭에 지천인 봄동을 보고 있으니

따뜻한 쌀밥에 봄동겉절이를 올려 먹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농토가 광활한 구목마을을 지나

돌이 많다고 붙여진 석중마을에 도착을 하였다.


옛날 윤선도가 마을 앞바다를 막아

제방을 축조하여 넓은 농토를 조성한 후

농사 짓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도록 석중저수지를 지었다.






석중리에서 고개넘어

양하저수지가 한눈에 보이는 진밭골을 지나

양하마을에 왔다.


양하리는 마을주변 산천에

버드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양화마을길에서 옛길을 따라

삼마리마을회관으로 숲길을 지나갔다.


삼마리마을은 김해김씨, 밀양박씨가

처음 입주하여 삼막사를 지었다 하여 삼막동이라 부르다가

그 뒤에 삼마리로 개칭되었다.








처음에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으나

김양식 소득으로 부유한 생활을 하고 있는 삼마리마을을 지나서

등산로가 있는 노화 숲길로 접어 들었다.


삼마리에서 노화읍까지는

다도해의 소안군도를 조망하며 낮은 구릉지를 걷게 된다.


당산리 숲길에서는 노록도와 연결되는

1km에 걸쳐 펼쳐지는 신비의 바닷길을 볼 수 있다.


신비의 바닷길은 일년에 몇번 영등살 때면 나타나는 신비의 길이다.






이치산에 등산로를 따라 노화읍에 왔다.


지금은 논으로 변했으나

마을앞에 300ha에 달하는 갯벌에 갈대가 서식하고

갈대 꽃이 만발하여 노화라 칭했다고 한다.


노화읍에서 전복죽으로 늦은 점심을 먹었다.


노화도는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및

윤선도의 보길유적지를 찾는 사람들의 경유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노화에서 육로로 보길도로 이동했다.


노화도와 보길도 사이의 장사도를 중심으로

보길대교가 양 섬으로 연결되어 있다.


어둠이 내리기 직전 윤선도 임원과

예송리로 드라이브를 갔다가 보길면으로 돌아왔다.


세연정 횟집에서 저녁식사를 하고

바로 위 세연정 모텔에서 숙박을 했다.


세연정 횟집은 1박 2일의 촬영지였던 곳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