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흐름 속에서 파동은 자유로운 영혼이 되고, 공간을 지배하는 계획은 기어이 지친 몸뚱어리를 아무렇게나 삶 속으로 밀어 넣는다.

늦은 일요일 오후 결국 길을 나섰다. 월요일에 보기로 한 벗에게 전화를 해 보지만 대답이 없다. 어느 곳으로 길을 잡아야 하나!

 

식이와 만난 후 또 다른 일행과 약속한 곳으로 차를 몰았다. 조금 늦어지는 일행과 여전히 불통인 벗과 기다림 속에 지쳐가는 커피와 함께 일요일 오후는 나른하다. 나머지 일행이 막 약속 장소에 다다를 무렵 벗에게서 전화가 왔다. 이제 막 지친 몸뚱이를 일으켰단다. 모두 나른한 오후, 그나마 갈 곳이 정해졌으니 다행이려니 하며 단양으로 길을 잡았다.

 

북단양 요금소를 지나 단양 쪽으로 얼마쯤을 가는데 식이가 도담삼봉을 강 건너편 도담마을에서 보자고 한다. 사실 도담삼봉을 처음 보기도 하거니와 강 건넛마을이 궁금하기도 하여 가던 길을 돌려 마을로 향했다.

그렇게 시린 겨울날 도담삼봉과 첫 대면을 했다. 뭍에서 섬으로 사는 바위산은 제법 의좋게 서 있기도 하거니와 그 도도함은 자못 큰 산 못지않았다. ‘좀 더 따스한 날에 올걸다만 아쉬움을 도담마을에 묻어두는 것으로 서운함을 대신했다.

단양에 들었다. 얼어붙은 남한강이 먼저 인사를 한다. 단양의 곧추선 산들이야 일찍이 안면을 튼 사이지만 오늘도 그 의연함은 여전하다. 곧이어 벗이 오고 반가움의 표현이 서툰 우리는 그저 손 한번 맞잡은 것으로 일 년여의 세월을 대신했다. 몇 순배 돌아가는 술잔에 녹슨 담장 같은 추억들이 허공으로 유영을 하고, 불콰해진 얼굴 위에 새겨지는 주름들은 술자리만큼 늘어만 간다.

 

십수 년 전 내포문화숲길을 한참 기획하던 때쯤, 내포의 이 선생과의 술자리가 길어지던 어느 날이었다. 그가 묻는다. “내포의 길은 우리가 이렇게 열정적으로 준비하여 별걱정이 없는데, 당신과 나의 길은 도대체 무엇이오?” 잠시 뜸을 들였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는 이렇게 말했던 것 같다. “ 지금 이렇게 함께 하는 시간이, 한 곳을 함께 바라보는 마음이 우리의 길이 아니겠습니까!”

오늘 벗과 함께 길을 물었다.

 

신림면 황둔리에서 감악산으로 들었다. 능선길로 시작되는 첫걸음부터 급경사가 시작되고, 조금 완만하다 싶다가도 금방 곧추선 능선은 발 뒷굽을 챈다. 그렇게 겨우다 올라왔느냐는 환상에 젖어 들 때쯤 나타난 암벽은 낯선 여행자의 기대를 철저히 꺾어 놓았다.

식이가 밥이나 먹고 하잖다. 미리 준비한 전투식량으로 점심을 마련하고는 살얼음이 가득한 찬물과 함께 억지로 위장에 욱여넣었다.

암벽을 기어오르고, 옆으로 돌아가고, 내려갔다가 다시 오르고, 다시 암벽을 오르고, 다시 돌아가고, 기어이는 감악산 정상에 섰다. 오히려 올라오다가 만난 암벽에서 내려다보는 풍광이 훨씬 경쾌할 만큼 정상은 오히려 평범하다. 정상에서 만난 작은 돌탑이 위로한다. ‘그만큼이 삶이지 않은가!’

첫걸음을 내디디고, 시간의 흐름 속에 떠밀려 공간을 유영하는 하루는 그리 보람차거나 희망을 내포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 하루하루가 삶의 조각이자 좋든 싫든 미래에 그려질 내 인생의 초상임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감악산에 그려놓은 한 조각의 삶을 조심조심 여미어 주머니에 넣고는 산에서 내려가며, 오늘도 괜찮았어라고 되뇌어 본다.

 

 

[저자소개]

그는 (주)하늘그린 대표이사 권경익이다.

글은 그의 페이스북에서 가져왔고, 일부 오타자 등 간단한 편집만을 했을뿐이다.

 

지난 2월 1일 영덕 출장을 그와 함께 다녀왔다.

소주 한잔 하다가 의기투합이 되어 '여행'이란 꼭지로 글을 쓰기로 했다. 

 

그의 글 '그편'은 홀수번호, 나의 글 '식이편'은 짝수번호

격주로 글을 올릴 예정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