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리도에 도착했다. 내가 걸어야 할 길은 콘크리트로 포장된 해안 길이다. 선착장에서 왼쪽으로 돌아가면 어느 섬에나 볼 수 있는 그런 조금은 밋밋한 길을 걸었다. 넓은 바다에 지주식 김 양식장이 펼쳐져 있고 해안가 모퉁이를 굽이 돌아가는 길은 인적 없는 쓸쓸한 곡선으로 뻗어 있었다. 새로 지어진 마을회관 파란색·빨간색 양철지붕 이지러진 담벼락 밭에 길게 늘어선 비닐하우스 논의 누렇게 익어가고 있는 벼 길가의 해당화……. 꾹 눌러쓴 모자 아래로 보이는 원달마을은 정적이면서 단출한 풍경이다. 나는 그 길을 무거운 배낭을 메고 걸었다. 언덕을 올랐다. 희미하게만 보이던 언덕길은 전봇대를 따라 원달마을 뒤편의 ‘갈막잔등’이라 부르는 곳을 른다. 그 길은 가난하고 굴곡진 옛사람들의 삶의 길이었다. 뱃고동 소리가 가..

나는 오늘도 배낭을 졸라맨다. 티셔츠에 반바지를 입고 가벼운 운동화를 신었다. 출근길 지하철은 지옥철답게 사람들의 물결을 이루고 있다. 나는 주말이나 연휴가 지난 월요일이나 평일에 여행을 간다. 남들 다 노는 주말이나 연휴에는 될 수 있으면 집에 머무른다. 교통체증과 북적거림이 싫어 절대로 여행은 다니지 않는다. 나에게 있어 여행은 남들 일할 때 당당하게 놀러 다니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에는 목포 달리도에서 야영을 하려고 한다. 열차에 올랐다. 서대전에서 09시 44분 목포행 첫 무궁화호 1401, 1호차 3번 좌석에 앉았다. 출근 시간이 지난 시각이라 열차는 한산했다. 열차는 천천히 움직이다가 어느 순간 빨라졌다. 창밖 풍경은 이미 가을이 찾아왔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동시간이 길다는 이유로 아무런 간섭..

태풍 영향으로 개도에서 오후 5시에 사선(개인 소유의 선박)을 타고 백야도 선착장에 도착했다. 처음 계획은 백야도에서 개도, 개도에서 금오도, 금오도에서 돌산도의 여정이었으나 일정이 어긋난 이 시점에 그냥 집으로 돌아가기 아쉬웠다. 오늘 밤 백야도에서 야영하기로 했다. 한 시간 후면 날이 저문다. 그전에 백야도에서 야영지를 찾아야 한다. 이틀 전 여수에서 버스를 타고 백야도에 도착했을 때 우연히 본 정자가 생각났다. 아침부터 모든 배가 결항이라 백야항에는 문을 연 식당과 슈퍼가 없었다. ‘큰일이데, 물이라도 구해야 하는데….’ 버스정류장에 배낭을 놓고 버스가 백야항으로 들어오는 도로를 따라 걸었다. 200m 정도 걸어갔을 때 불 켜진 특산물 상점을 발견했다. 50대 후반으로 보이는 주인분이 평상에서 지인..

음력 8월 19일, 내 생일이다. 푹 자고 일어나니 새벽 3시 50분이다. 새벽에 내가 바라던 것을 볼 수 있을 것 같다. 백야도와 금오도 사이 다도해에 떠 있는 섬, 나는 그 섬의 청석해수욕장 암반 위에 있다. 조용히 하늘을 바라본다. 요즘은 도통 별을 볼 수가 없다. 그래서 예전에 본 별이 기억나지 않는다. 기억하거나 기억 못 하거나 지금은 중요하지 않다. 현재 내가 보는 별에 관심이 있을 뿐이다. 혼자서 별을 만끽하는 이런 순간을 어떻게 말로 표현할 수 있겠는가? 단지 마음이 편안해지고 영혼이 정화된다는 말로는 부족함이 있다. 하늘을 날아서 달과 별 사이를 내 멋대로 여행을 다니는 공상에 빠져든다. 새벽부터 내가 가장 좋아하는 먹태를 안주 삼아 생일 술로 맥주를 마신다. 나에게 행복은 이런 것이다...

‘내가 미쳤지.’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려고 오늘 이러고 있나? 나도 모르게 나온 소리다. 장거리 이동에 산행까지 그야말로 강행군이다. 피곤한 기색이 역력한 몸을 이끌고 개도 구릉지의 도로를 걷고 있다. 누렇게 익어가는 벼를 바라보며 마지막 한 방울까지 이온 음료를 마신다. 그리고 걷고 또 걷는다. 이곳이 개도주조장이다. 개인적으로 주조장보다는 술도가라는 단어가 더 좋다. 언제나 문이 활짝 열려 있을 것 같은 이곳에 인기척이 느껴지지 않는다. ‘아무도 없으면 안 되는데….’ 쓸데없는 걱정을 하며 안으로 들어간다. 건물 안쪽에 어머님이 보인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나의 출현으로 당황하시는 모습이 역력하다. 그러거나 말거나 눈이 마주치자 ‘어머니 막걸리 주세요.’를 외친다. 감로수가 따로 없다. ‘몇 병 줄까..

개도에 발을 딛는다. 북쪽에는 여수반도, 북동쪽에는 돌산도, 남동쪽에는 금오도, 서쪽에는 고흥반도가 있다. 개도는 주위의 섬을 거느린다는 뜻으로 蓋(덮을 개) 자를 써서 개도(蓋島)라고 한다. 개도에는 엿섯 마을이 있는데 화산, 월항, 신흥, 호령, 모전, 여석이다. 개도에는 마을버스가 운행되었지만, 이용자가 거의 없어 지금은 유명무실해졌다고 한다. 암석해안이 발달해 있다. 개도 남부에는 천제봉(328m), 봉화산(338m) 등 비교적 높은 산들이 솟아 있고 북쪽으로 갈수록 고도가 낮아진다. 섬 중앙부는 구릉지가 형성되어 있다. 대장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25분간의 지하철을 타고, 10분간의 걷기를 하고, 약 3시간의 기차를 타고, 1시간의 버스(2번)를 타고, 20분간의 배 타고 개도에 도착했는데도..
- Total
- Today
- Yesterday
- 베트남 여행
- 베트남여행
- #시베리아 선발대
- 유럽여행
- 대마도 백패킹
- #여행에미치다
- 여행
- 50대한량의유럽여행
- 제주맛집
- 홋카이도 여행
- 마운틴북
- 일본여행
- 제주여행
- 제주백패킹
- 나만의글쓰기
- 걷다보니유럽
- 명산100
- 자유여행가
- 여행을떠나는이유
- 나에게여행이란
- 블랙야크 마운틴북
- 50대한량의유럽배낭여행
- #다르게살아보기
- 대마도 여행
- 뚜벅이가 꿈꾸는 세상
- 블랙야크 셰르파
- 뚜벅이
- 유럽배낭여행
- 베트남 북부여행
- 해외여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